지난주 예르킨 투쿠모프 카자흐스탄 전략연구소(KISS: Kazakhstan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소장을 위시로 한 카자흐스탄 사절단이 서울을 방문하여 한국(전국)경제인연합회(FKI),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동아시아재단 등 대한민국 유수의 기관들과 만남을 갖고 양국 간 기술교류 활성화 및 협력 강화 방안에 대해 다양한 논의를 나누었다고 카자흐스탄 매체 Kazinform이 지난 14일 보도했다.
대한민국 정부의 초청으로 지난 10일부터 12일까지 이루어진 이번 방한 일정 속에서 투쿠모프 카자흐스탄 전략연구소장은 동아시아재단이 발행하는 계간지 ‘글로벌 아시아’ 편집부와 한국경제인연합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등의 대표들과 면담을 갖는 한편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3 상반기 붐업코리아 해외수출상담회(Korea Biz-Trade Show 2023)'를 방문하기도 했다.
Kazinform은 특히 카자흐스탄 전략연구소 측과 전 대통령 통일외교안보 특별보좌관 출신인 문정인 ‘글로벌 아시아’ 편집장 간에 이루어진 만남에서는 향후 중앙아시아 지역연구와 관련하여 상호간 정보교류 및 연구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것에 대한 협의가 이루어졌다고 밝히며 그와 더불어 이 자리에서 카자흐스탄 측이 ‘글로벌 아시아’ 편집장을 오는 7월 중순 카자흐스탄 전략연구소와 카자흐스탄 공화국 외무부의 공동 주최 하에 아스타나에서 개최될 예정인 ‘중앙아시아 안보 포럼’에 초청하였고 이에 문정인 편집인은 큰 관심을 표명하며 본 행사에 참가할 것을 약속했다고 전했다.
본 매체는 이 밖에도 다른 한국의 기관들과 가진 만남의 자리에서 예르킨 투쿠모프 소장은 현재 카자흐스탄에서 시행되고 있는 국가 현대화 정책에 대해 알리는 시간을 가졌다고 보도했으며, 특히 자신의 브리핑을 통해 그는 “현재 카자흐스탄은 매우 중대한 발전 과정을 거치고 있는 만큼 국가경제에 대한 투자유치에 각별한 노력을 쏟아야만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오늘날 유라시아 지역에서 가장 역동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으며 특히 향후 역내 식량안보 주도국으로서의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는 카자흐스탄은 농업 분야에 큰 투자 잠재력을 갖추고 있다. 또한 우리 카자흐스탄은 익히 알려졌듯 매우 풍부한 광물자원을 보유하고 있지만, 궁극적으로 자원 수출에 편중된 채굴경제 구조에서 탈피하여 경제 다각화를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기에 현 단계에서 적극적으로 해외자본을 유치하여 향후 이를 국내 광물자원이 투입되는 여러 국가주도 산업프로젝트를 육성하는 데 융통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이다”라고 설명했다고 알렸다.
또한 김봉만 전국경제인연합회 국제본부장은 투쿠모프 카자흐스탄 전략연구소장과 가진 면담 자리에서 “카자흐스탄의 인적자본은 매우 높은 수준”이라고 언급하며 “넓은 영토를 보유한 카자흐스탄은 매우 큰 성장 잠재력을 갖추었다. 우리는 카자흐스탄을 중앙아시아의 심장과도 같은 위치에 서 있는 존재로 인식하고 있으며, 앞으로 기존의 국제물류 공급망 체계에 발생할 변화에 발맞추어 우리 한국 업체들은 카자흐스탄을 생산허브로 삼고 그에 대한 투자를 진행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발언했다고 Kazinform은 전했다.
한편 대외경제정책연 구원의 정성춘 부원장과 가진 면담에서 투쿠모프 소장은 “오늘날 세계를 선도하는 수준의 경제 다각화를 이룩해 낸 대한민국이 보유한 경제 선진화 경험을 전수받는 것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표명했으며,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측과 이루어진 만남의 자리에서는 김준한 구미CIS 팀장이 “우리는 오늘날 카자흐스탄이 역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국가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것을 체감하고 있으며 한국 기업들은 카자흐스탄의 시장이 가진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특히 근래 들어 통계적으로도 수출 규모가 배로 증가한 것이 이를 뒷받침 해주고 있다. 그와 더불어 인적자본 분야에서의 양국 간 협력 증진도 눈에 띄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예로 현재 수 많은 카자흐스탄의 대학생들이 한국의 대학들에서 유학 중이라는 점을 들 수 있다”고 발언했다고 매체는 보도했다.
이 밖에도 Kazinform은 투쿠모프 카자흐스탄 전략연구소장은 상기 한국 기관 대표들과 함께 전기차 생산, 농업분야 기술 협력, 물류 통로 구축 등을 중심으로 한 양국 간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으며, 양측 모두 가까운 미래에 공동 투자사업 및 기술연구 프로젝트 등에 착수할 수 있도록 상호간에 노력을 기울이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출처: https://www.inform.kz/ru/vasha-ogromnaya-strana-obladaet-bol-shim-potencialom-razvitiya-predstavitel-koreyskoy-promyshlennoy-federacii_a4057000